Skip to content

gdsc-ssu/cs-interview-study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14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cs-interview-study

CS 면접 대비 스터디

브랜치 규칙

  • jin/ch1

PR 규칙

  • PR 제목 [Week1] 진 1장 정리
  • 리뷰 후 스쿼시 앤 머지!

스터디 방식

  1. 각자 학습 후 PR 리뷰
    1. 지정한 날까지 공부한거 정리해서 올리기
    2. 서로 리뷰 하기
  2. 대면 스터디
    1. 대면 스터디에서는 해당 장에 있는 내용을 소재별로 나눠서 "랜덤"으로 발표자를 정합니다. (한 회차당 2명 정도?)
    2. 당첨된 발표자가 짧게 공부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review 느낌으로, 중요한 것, 새롭게 알게된 것 위주로)
    3. 발표자가 아닌 사람이 발표자에게 cs 면접 질문을 합니다. (이건 고민 중.. 반대로 할까)

일정

내용 각자 공부 PR 대면 면접 스터디
1장. 디자인 패턴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5.14 5.14 수 23:59까지 PR 제출 5.15 목 19~20:30
2장. 네트워크 5.16~5.28 5.28 수 23:59까지 PR 제출 5.29 목 19~20:30
3장. 운영체제 5.30~6.11 6.11 수 23:59까지 PR 제출 6.12 목 19~20:30
4장. 데이터베이스 6.13~6.25 6.25 수 23:59까지 PR 제출 6.26 목 19~20:30
5장. 자료 구조 6.27~7.9 7.9 수 23:59까지 PR 제출 7.10 목 19~20:30

세부 주제

기본적으로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책의 목차를 따라갑니다.

1장. 디자인 패턴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번호 제목
1.1 디자인 패턴
1.1.1 싱글톤 패턴
1.1.2 팩토리 패턴
1.1.3 전략 패턴
1.1.4 옵저버 패턴
1.1.5 프록시 패턴과 프록시 서버
1.1.6 이터레이터 패턴
1.1.7 노출모듈 패턴
1.1.8 MVC 패턴
1.1.9 MVP 패턴
1.1.10 MVVM 패턴
1.2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1.2.1 선언형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1.2.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2.3 절차형 프로그래밍
1.2.4 패러다임의 혼합
예상 질문

2장. 네트워크

번호 제목
2.1 네트워크의 기초
2.1.1 처리량과 지연 시간
2.1.2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 현상
2.1.3 네트워크 분류
2.1.4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2.1.5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화
2.2 TCP/IP 4계층 모델
2.2.1 계층 구조
2.2.2 PDU
2.3 네트워크 기기
2.3.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2.3.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3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4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3.5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4 IP 주소
2.4.1 ARP
2.4.2 홉바이홉 통신
2.4.3 IP 주소 체계
2.4.4 IP 주소를 이용한 위치 정보
2.5 HTTP
2.5.1 HTTP/1.0
2.5.2 HTTP/1.1
2.5.3 HTTP/2
2.5.4 HTTPS
2.5.5 HTTP/3
예상 질문

3장. 운영체제

번호 제목
3.1 운영체제와 컴퓨터
3.1.1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
3.1.2 컴퓨터의 요소
3.2 메모리
3.2.1 메모리 계층
3.2.2 메모리 관리
3.3 프로세스와 스레드
3.3.1 프로세스와 컴파일 과정
3.3.2 프로세스의 상태
3.3.3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3.3.4 PCB
3.3.5 멀티프로세싱
3.3.6 스레드와 멀티스레딩
3.3.7 공유 자원과 임계 영역
3.3.8 교착 상태
3.4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3.4.1 비선점형 방식
3.4.2 선점형 방식
예상 질문

4장. 데이터베이스

번호 제목
4.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4.1.1 엔터티
4.1.2 릴레이션
4.1.3 속성
4.1.4 도메인
4.1.5 필드와 레코드
4.1.6 관계
4.1.7
4.2 ERD와 정규화 과정
4.2.1 ERD의 중요성
4.2.2 예제로 배우는 ERD
4.2.3 정규화 과정
4.3 트랜잭션과 무결성
4.3.1 트랜잭션
4.3.2 무결성
4.4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4.4.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4.4.2 NoSQL 데이터베이스
4.5 인덱스
4.5.1 인덱스의 필요성
4.5.2 B-트리
4.5.3 인덱스 만드는 방법
4.5.4 인덱스 최적화 기법
4.6 조인의 종류
4.6.1 내부 조인
4.6.2 왼쪽 조인
4.6.3 오른쪽 조인
4.6.4 합집합 조인
4.7 조인의 원리
4.7.1 중첩 루프 조인
4.7.2 정렬 병합 조인
4.7.3 해시 조인
예상 질문

5장. 자료 구조

번호 제목
5.1 복잡도
5.1.1 시간 복잡도
5.1.2 공간 복잡도
5.1.3 자료 구조에서의 시간 복잡도
5.2 선형 자료 구조
5.2.1 연결 리스트
5.2.2 배열
5.2.3 벡터
5.2.4 스택
5.2.5
5.3 비선형 자료 구조
5.3.1 그래프
5.3.2 트리
5.3.3
5.3.4 우선순위 큐
5.3.5
5.3.6
5.3.7 해시 테이블
예상 질문

About

CS 면접 대비 스터디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Contributors 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