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am Koong Kwon edited this page Nov 29, 2019 · 2 revisions

공부하면서 오류나 모르는 것 정리한 Wiki

INDEX

업데이트 내역

2019.11.29

  • HashTable과 HashMap에 대한 내용 추가 ( Naver D2 )

2019.11.27 솝터링

  • MSA

CS기본

  • 밑에 내용은 모두 설명 가능해야한다!
  • 얕게 하지말고 꼬리를 물면서 깊게 공부하자!

JAVA

  • 객체지향 언어(Object Oriented Language)의 특징은 ?
  • 기본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의 차이점은 ?
  • 멀티쓰레드의 장단점 ?
  • Java 콜렉션의 대표 인터페이스 ?
  • 접근제어지시자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설명
  • Thread를 구현하기 위한 두가지 방법은 ?
  • 인터페이스란 ?
  • abstact class란 ?
  • garbage collection이란 ?
  • Vector와 ArrayList
  •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차이
  • 전역변수, 지역번수, 정적변수를 스택과 힙과 관련해서 설명
  •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차이 ?
  • inner class 란 ? inner class를 쓰는 이유 ?
  • Java Reflection이란 ? 사용하는 이유 ?
  • 예외처리의 필요성과 목적 ?
  • JVM의 구성에 대해 설명
  • HashMap과 HashTable

OS

  • process와 thread 차이 ?
  • muti programming, multi processing, multi threading 차이
  • dispachter ?
  • inperrupt 설명하기
  • scheduling이 뭐지? 종류가 뭐가 있는지 ? 언제 사용 ?
  • synchronization는 ??
  • aging 기법 ?
  • race condition 설명
  • semaphore 설명 ? 어떻게 구현 ?
  • monitor는 ?
  • mutex 설명
  • deadlock 설명
  • 논리적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는 ?
  • 시스템콜과 인터럽트 콜의 차이는 ?

Database

  • 키(key)의 종류와 개념 설명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설명, 왜하고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역정규화는 무엇인지, 왜하는지 ?
  • 데이터 이상이란 ?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에 대하여 설명, ACID에 대해 설명
  • 데이터베이스 무결성에 대하여 설명
  • NoSQL과 RDBMS가 뭔지 설명
  • data independency란 ?
  • Trigger의 역할
  • Join의 종류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
  • index? index를 쓰는 이유와 장단점

Network

  • OSI 7계층에 대해 설명
  • 프로토콜(Protocol)이란 ?
  • HTTP 프로토콜이란 ?
  • big endian, little endian이란 ?
  • TCP와 UDP
  • POST 방식과 GET 방식
  • 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 control flow
  • congestion control
  • 로드밸런싱(Load balancing)
  • 도메인(domain) ?
  • 브라우저에 URL을 치면 어떤 일이 발생 ?
  • IP Address와 MAC Address
  • ARP와 RARP에 대해 설명
  • 라우터와 스위치에 대한 차이점

WEB

  • 웹브라우저가 서버와 통신하는 과정 설명
  • 쿠키와 세션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 MVC 패턴 설명
  • CI란 ?
  • DI(Dependency Injection)란 ?
  •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란 ?
  • Coonectino pool 이란 ?
  • Spring Framework
  • Spring 특징
  • JSP(Java Server Page)
  • JSP에서 페이지 이동 방식(Foward 방식, Redirect방식)
  • Servlet
  • WEB 서버란 ?
  • WAS(Web Application Server)란 ?
  • 웹컨테이너란 ?

Node.js

ETC

  • 리팩토링(Refactoring)이란 ?
  • 프레임워크(Framwork) ?
  • 라이브러리(Library) ?
  • 플랫폼(Platform) ?
  •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 싱글톤(Singleton) 패턴이란 ?
  • 콜백함수란 ?
  • white box test, black box test

JAVA

OS

Database

Network

WEB

Node.js

ETC

Clone this wiki locally